자연의 섭리로 가꾼 비옥한 토양
고품질 원료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옥한 토양이 필요합니다.
뉴트리라이트에서는 원료 식물을 심기 전에 자연의 섭리만으로 영양이 풍부한 토양을 만들어냅니다.
이를테면 휴경지를 관리하는 데는 양을 이용합니다, 즉, 양을 밭에 방목하여 수확 후의 알팔파 줄기나 뿌리를 먹여 밭을 깨끗이 정리합니다.
더욱이 양들의 배설물은 자연 퇴비가 되어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다음 땅속 깊이 파고드는 지렁이의 습성을 이용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합니다. 식물이 뿌리내리기 쉬운 상태로 만든 후, 콩과 식물을 심어서 토양에 질소를 불어넣습니다. 질소는 식물의 육성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부족하면 수확량이 적어지고 과다하면 영양이 저하되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식물은 대부분 뿌리에서 땅속의 질소를 흡수하여 자라는데, 예외적으로 콩과 식물은 공기 중의 질소를 땅으로 불어넣습니다. 이렇게 질소를 땅속으로 충분히 공급한 후 콩과 식물 위에 플라스틱을 덮습니다,
태양열로 시들어 말라 비틀어진 식물을 퇴비로 활용하고 동시에 해충을 구제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연구 결과 형성된 영양이 풀 부한 땅이 마련되고 나면 비로소 뉴트리 라트의 원료 식물 재배가 시작됩니다. 이렇게 가지 정성을 들이는 곳을 여러분은 본 적이 있습니까?
자연계의 균형을 위한 해충 피난소
농약 살포가 왕성했던 50년 전에도 뉴트리라이트는 농약을 쓰지 않았습니다.
농약을 대신해 해충으로 부터 원료 식물을 지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해충의 천적인 무당벌레와 잠자리 유충을 밭에 풀어놓아 해충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 쥐와 같은 해로운 짐승에 대한 대비로 낮에는 매를, 밤에는 올빼미를 파수꾼으로 이용합니다
그러나 뉴트리라이트의 농법에는 실로 커다란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단순히 해충을 구제하기만 한다면 자연계의 균형이 깨진다는 생각을 토대로 농장 곳곳에 "해충 피난소"라는 토질를 마련해놓습니다. 면적이 5~10제곱미터로 전혀 손대지 않았기 때문에 잡초가 무성한 땅입니다.
이곳은 해충이 천적의 눈길을 피해 몸을 숨길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해충이 원료식물에 미치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도 합니다. 이밖에도 벌레가 싫어하는 냄새를 내는 마리골드를 알팔파 사이에 심거나 마늘 농축물을 땅에 뿌리기도 합니다.
칼 렌보그는 자연계에는 균형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해충을 구제하기만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즉 대량의 익충을 이용하여 해충을 구제하였다 해도 그 결과 먹이가 없어진 익충도 거기서 살 수 없으며 이후 다시 해충이 발생하였을 때 도리어 더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식물을 키우기 위하여 앞으로도 뉴트리라이트는 해충과 공존할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